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은 1944년에 발생한 압록강 하구 지진을 지칭한다. 지진 규모는 여러 기관 및 학자에 따라 M6.75에서 M7.1 사이로 추정되며, 진원지는 서조선만 중앙으로 추정된다. 중국 단둥시, 둥강시, 좡허시, 북한 룡천군 등 서조선만 연안 지역에서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VI(6)에 해당하는 진동이 있었고, 단둥시에서 가옥 붕괴로 인한 인명 피해가 보고되었다. 일본 규슈 및 혼슈 일부 지역에서도 미약한 진동이 관측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4년 중국 - 대륙타통작전
대륙타통작전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일본군이 중국 대륙을 관통하는 육상 교통로 확보와 연합군 공군 기지 파괴를 목표로 1944년에 감행한 대규모 공세 작전으로, 남방 자원 지대와 일본 본토를 연결하고 중국 국민당을 굴복시키려는 전략적 목표를 가지고 있었으나, 전술적 성공에도 불구하고 전략적 의미는 퇴색되었으며 중국 내 정치적 지형 변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 1944년 지진 - 쇼와 도난카이 지진
1944년 도난카이 해역에서 발생한 쇼와 도난카이 지진은 필리핀해판의 섭입으로 인해 발생한 모멘트 규모 8.1~8.2의 거대 지진으로, 강력한 흔들림과 쓰나미를 동반하여 일본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했으며 유발 지진 발생에도 영향을 미쳤다. - 1944년 한국 - 창씨개명
창씨개명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가 내선일체를 명분으로 조선인의 성과 이름을 일본식으로 바꾸도록 강요한 황국신민화 정책으로, 천황 중심의 국가 체계에 통합하려는 목적을 가졌다.
1944년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 |
---|---|
지진 정보 | |
이름 | 한국-중국 국경 지역 지진 |
![]() | |
![]() | |
발생 시간 (KST) | 1944년 12월 19일 23시 8분 52.9초 (JMA 기준) |
지속 시간 | 미상 |
진앙 | 한국-중국 국경 지역 |
좌표 | 39.887° N, 124.148° E |
깊이 | 35 km |
규모 종류 | 모멘트 규모 Mw |
규모 | 6.6 |
규모 기타 | 6.8 (JMA 기준), 표면파 규모 MS6.8 |
진도 종류 |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
진도 | VII |
진도 지점 | 중국 랴오닝성 단둥시, 조선 룡천군 등 |
지진 해일 | 미상 |
종류 | 유발지진 |
산사태 | 미상 |
사상자 | 3명 부상으로 추정 |
피해액 | 미상 |
피해 지역 | 미상 |
기타 | 미상 |
2. 추정 규모
1944년 일어난 압록강 하구 지진의 규모는 여러 학자나 기관에서 서로 다르게 추정하고 있다.
2. 1. 중국 측 추정
1944년 지진에 대해 기록한 최초의 서적인 1960년 리샨방의 "중국지진목록"에서는 지진 진원지를 서조선만 중앙으로 추정하고 규모를 대략 M6.75라고 추정했다.[7]2. 2. 국제지진센터 추정
국제지진센터에서는 1944년 지진의 규모를 Mw6.8로 추정하고 진원 깊이는 35km라고 밝혔다.[5]2. 3. 북한 측 추정
"조선지진목록"에 기재된 1944년 지진에서도 역시 규모 M6.8이라 추정하고 있다.2. 4. 일본 측 추정
1952년 일본 중앙기상관측소에서 발표한 지진 규모는 대략 M7.1이라고 추정했다.[7]3. 흔들림 및 피해
이 지진은 중국 동북부와 한반도 북부의 서조선만 연안 지역에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VI의 강한 흔들림을 발생시켰으며,[8][9] 일본 일부 지역에서도 감지되었다.[1] 지진으로 인해 중국 단둥시 등지에서 주택이 붕괴되고 부상자가 발생했으며,[7] 북한 지역에서도 강한 흔들림이 보고되었다.[7]
3. 1. 중국 측 기록
1955년 리게위가 평양지진센터와 중국 랴오닝성 지진국 기록을 분석한 결과, 수정 메르칼리 진도 계급 기준 중국 단둥시, 둥강시, 좡허시 및 현재 북한의 룡천군과 같은 서조선만 연안 지역에서 대략 VI(6)에 해당하는 진동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했다.[8][9]기록에서는 단둥시에서 지진으로 오래된 집 2채가 무너져 3명이 부상을 입었다는 기록이 있다. 또한 둥안현 및 신농향에서는 여러 주택이 무너졌다고 한다.[7]
3. 2. 북한 측 기록
북한의 룡천군 기록에서는 지진이 일어나 걷거나 서 있을 수 없을 정도로 땅이 흔들렸다는 기록이 있다.[7]3. 3. 일본 측 기록
일본 규슈 및 혼슈 일부 지역에서도 일본 기상청 진도 계급 최대 진도1의 미약한 진동을 관측하였다.[1]참조
[1]
웹인용
震度データベース検索 (地震別検索結果)
http://www.data.jma.[...]
일본 기상청
2018-12-06
[2]
웹인용
ISS.CAT
https://earthquake.u[...]
International Seismological Summary
1964
[3]
웹인용
centennial.cat
https://earthquake.u[...]
Centennial Earthquake Catalog
2018-11-27
[4]
웹인용
M 6.6 - China-North Korea border region
https://earthquake.u[...]
USGS
2018-11-27
[5]
웹인용
899663 North Korea
http://isc-mirror.ir[...]
International Seismological Centre
2018-11-27
[6]
저널
Korea及びその周辺域の地震・火山活動とアジア東縁のテクトニクス : 地震活動に現われる潜在構造
http://www.lib.kobe-[...]
神戸大学都市安全研究センター
2018-10-09
[7]
저널
北黄海重要历史地震参数复核
http://www.wanfangda[...]
2019-02-05
[8]
뉴스
什么?丹东地震了?原来真相是这样……
http://www.sohu.com/[...]
搜狐新闻
2019-02-05
[9]
서적
黄海及其周围地区历史地震
地震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